2021년 우리경제는 세계경제의 회복세 확대에 따른 수출호조가 경제성장 흐름에 강력한 견인력을 발휘하며 3.9%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,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.
지난해 -2.4%의 역(逆 )성장을 기록했던 수출은 주요국 정부의 대규모 경기부양책 및 적극적인 백신보급의 영향으로 교역량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서며 올해는 수출성장률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. 더구나 반도체 단가상승, 국제유가 회복 등 교역여건이 개선되고, 바이오헬스·이차전지 같은 비주력 품목에 걸쳐 전품목이 기록적인 증가세를 나타내면서 수출성장률은 9.6%까지 확대될 것으로 분석됐다.
설비투자도 수출호조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. 반도체 등 IT부문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가 지속되는 가운데, 친환경 분야에 대한 투자 역시 상승흐름이 이어지면서 설비투자는 9.0%의 높은 수준에 이를 전망이다. 한편, 건설투자는 대규모 주택공급 대책의 영향이 하반기에 일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지난해의 역(逆)성장에서 벗어나 플러스(+) 성장으로 전환될 것으로 분석됐으나, 여전히 산재해 있는 건축규제 및 방역조치에 따른 공사차질로 실질적인 건설투자 회복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.
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, 주식·부동산 등 자산가격 상승에 힘입어 상반기 중 회복세가 확대되었던 민간소비는 코로나19 4차 대유행의 장기화로 소비심리가 급격한 위축을 보이는 가운데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상환부담 증가 등 하방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하반으로 갈수록 회복흐름이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.
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0.5%에서 올해 2.0%에 이르며 큰 폭으로 상승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. 농축수산물 가격의 높은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, 국제원자재가격 및 국제유가의 고공행진, 그리고 집세 등 거주비 상승이 물가에 대한 상방압력으로 작용하면서 물가상승은 물가안정목표(2.0%) 수준에 도달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.
한편 원·달러환율의 경우, 美연준의 양적완화 기조 지속 및 미국 外 주요국의 경기개선에 따른 영향으로 약보합세를 보여오던 환율은 미국의 경기회복세가 확대되고 인플레이션 우려까지 현실화됨에 따라 美연준이 테이퍼링 시기를 구체적으로 모색하기 시작하면서 하반기중 강세흐름을 지속하며 1,145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.